히비키의 언어, 오키나와어를 배워보자 (1)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댓글: 6 / 조회: 5124 / 추천: 0


관련링크


본문 - 03-15, 2014 21:23에 작성됨.

여러분께 오키나와어 대화를 들려드리기 위해 인기 아이돌 가나하 히비키(我那覇響, 16) 양과 그 고향 친구 아리사(アリサ) 양을 모셔왔습니다. 우선 첫 번째 예문부터 들어보도록 하죠.

히비키: クレー ヌーヤイビーガ。
    (kure=e nuu yaibiiga?)
    이것은 무엇입니까?
아리사: クレー ハナヤイビーン。
    (kure=e hana yaibiin.)
    이것은 꽃입니다.

처음 접하는 언어이므로 모르는 단어가 잔뜩입니다. 우선 단어들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クリ (kuri): '이것'.
ヌー (nuu): '무엇'.
ハナ (hana): '꽃'.
ヤイビーン (yaibiin): '입니다'.
ガ (ga):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판정 의문문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첫 번째 단어는 クリ kuri인데, 위의 대화에서는 クレー kuree라고 쓰였습니다. 한국어의 '은' 또는 '는'에 해당하는 의미를 나타낼 때는 오키나와어에서도 '은', '는'에 해당하는 조사가 붙어야 합니다. 이걸 주제격 조사라고 합니다. 일본어로는 이 조사가 は wa입니다만, 오키나와어에서는 ヤ ya입니다.

이 ヤ ya는 사용법이 아주 복잡합니다. 단어가 긴 모음(aa, ii, uu, ee, oo)으로 끝날 때는 그냥 그대로 ヤ ya를 붙여주면 되는데, 여기까지는 참 쉽습니다. 예를 들면,

わー (7waa) '돼지' → わーヤ (7waa=ya) '돼지는'
マヤー (mayaa) '고양이' → マヤーヤ (mayaa=ya) '고양이는'

이렇게 됩니다. (편의를 위해 등호로 단어의 본체와 조사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짧은 모음으로 끝날 때는 그 모음을 길게 늘여줍니다. 여기서는 그냥 늘여주는 것이 아니라, 원래 단어가 i나 u로 끝날 때는 ii나 uu가 되는 대신 각각 ee, oo가 되는 규칙이 하나 더 붙습니다. 원래 단어가 a, e, o로 끝날 때는 그냥 늘여주기만 하면 됩니다.

うサジ (7usaji) '토끼' → うサジェー (7usaje=e) '토끼는'
うェンチュ (7wenchu) '쥐' → うェンチョー (7wencho=o) '쥐는'

지금쯤 궁금하신 게 하나 있을 것 같은데, 모음으로 안 끝나고 ン으로 끝나는 단어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뒤에 oo가 붙어서 ン n이 ノー noo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고유 명사라든지 최근에 들어온 외래어 뒤에는 그냥 ヤ를 붙여줍시다. 이 '최근'이라는 게 어느 정도 최근이냐면, 대충 '전화'라든가 '비행기'는 최근이 아니고 그 다음부터 최근이라고 생각합시다. 참고로 이 강좌의 라틴 알파벳 표기에서는 이런 고유 명사나 외래어를 대문자로 쓰고 있습니다.
 
いン (7in) '개' → いノー (7ino=o) '개는'
響 (HIBIKI) '히비키' → 響ヤ (HIBIKI=ya) '히비키는'

그러니까 이렇게 됩니다. 주제격만 설명했는데도 벌써 분량이 이렇게 되어버렸네요. 'A는 B입니다'라고 할 때는 A를 주제격으로 표시하고, 뒤에 'Bヤイビーン'이라고, ヤイビーン yaibiin을 붙여 주면 됩니다. 간단하죠?

이 ヤイビーン yaibiin의 판정 의문형은 ヤイビーミ yaibiimi이고, 부정형은 ヤイビラン yaibiran입니다. 판정 의문형은 판정 의문문에 쓰이는 형태를 말하는데, 판정 의문문이란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말합니다. 아래의 예문을 읽어봅시다.

아리사: クレー うェンチュヤイビーミ。
    (kure=e 7wenchu yaibiimi?)
    이것은 쥐입니까?
히비키: クレー うェンチュヤイビラン。ハムスターヤイビーン。
    (kure=e 7wenchu yaibiran. HAMUSUTAA yaibiin.)
    이것은 쥐가 아닙니다. 햄스터입니다.
    ナメー ハム蔵ヤイビーン。
    (namee=ya HAMUZOU yaibiin.)
    이름은 하무조입니다.

* ナメー (namee): '이름'.

그렇다면 '예'나 '아니오'가 아닌 다른 대답을 요구하는 질문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면, ガ ga를 쓰면 됩니다.

아리사: うンジュ ナメーヤ ヌー ヤイビーガ。
    (7unju namee=ya nuu yaibiiga?)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히비키: ワンネー 我那覇響ヤイビーン。
    (wanne=e GANAHA HIBIKI yaibiin.)
    저는 가나하 히비키입니다.
아리사: クヌ いンヌ ナメーヤ ヌー ヤイビーガ。
    (kunu 7in=nu namee=ya nuu yaibiiga?)
    이 개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히비키: クヌ いノー いぬ美ヤイビーン。
    (kunu 7ino=o INUMI yaibiin.)
    이 개는 이누미입니다.

* うンジュ (7unju): '당신'. 존댓말에 사용하는 2인칭 단수 대명사.
* ワン (wan): '나' 또는 '저'. 반말과 존댓말을 가리지 않고 사용하는 1인칭 단수 대명사.
* クヌ (kunu): '이'. 화자에게 가까이 있는 것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여기서는 설명할 게 조금 많습니다.

우선, うンジュ 7unju는 그냥 '당신'인데 대화에서는 '당신의'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오키나와어에서는 1인칭이나 2인칭 대명사, 또는 인명에 대해 별도의 소유격 조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 외의 단어에 대해서는 대체로 사람이라면 ガ ga를, 동물이나 사물에 대해서는 ヌ nu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いン 7in '개'에서 '개의'는 いンヌ 7in=nu가 되었습니다. 가끔 사람에 대해서 ヌ를 쓸 수도 있는 경우나 ヌ를 써야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합니다.

ワンネー wanne=e는 '나는'이라는 뜻입니다. 1인칭 대명사 ワン wan은 조금 짜증나는 단어라서, 오키나와어에서 유일하게 조사가 붙을 때 예외가 생깁니다. 예를 들면, 앞에서 1인칭이나 2인칭 대명사의 소유격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사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씀드렸습니다만, ワン wan은 ワー waa로 변화합니다. 그래서 '내 이름'이라고 할 때는 ワー ナメー waa namee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대화의 うンジュ ナメー 7unju namee라는 표현은 '당신의 이름'을 직역한 것인데, 별로 자연스럽지 못합니다. 실제로 타인의 이름을 말할 때는 ナメー namee 앞에 존경을 나타내는 접두사 う 7u-를 붙여서 うナメー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문맥에서 제3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면 이 うナメー라는 표현은 '당신의 이름'을 의미하게 됩니다. (여기서 '당신의'를 굳이 붙여주지 않고 표현하는 것은 한국어나 일본어에서 상대의 이름을 물을 때 '이름이 무엇입니까'라고 하지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라고 하지 않는 것과 비슷합니다.)

따라서, 위의 대화에서 이름을 묻고 답하는 부분을 조금 더 자연스럽게 써보면 이렇게 됩니다.

히비키: うナメーヤ ヌーヤイビーガ。
    (7u-namee=ya nuu yaibiiga?)
    이름이 무엇입니까?
아리사: ワー ナメーヤ アリサヤイビーン。
    (waa namee=ya ARISA yaibiin.)
    제 이름은 아리사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오키나와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인 동사의 활용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0 여길 눌러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