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프로듀서
댓글: 14 / 조회: 5940 / 추천: 1
일반 프로듀서
관련 링크가 없습니다.
한번 노래를 업로드를 해볼까... 싶어서 여러가지 곡을 생각해본 와중에 심심해서 한번 불러보면서 문득 생각난게..
"어라? 왜이렇게 쉽지?"
해서 한번 음역대를 보니...
여자기준 G4 ~ E6 더군요. 가운데 G 에서 두옥타브 위 E. (E는 이테에에에에에에 이파트입니다)
근데 이게 애매한게, 남자로 치면 G2 ~ E4 나 G3~E5인데..
G2~ E4 는 낮은음이 살짝 문제지만 (G2가 그렇게 까지 낮은음이 아니긴하지만요) E4 는 왠만한 남자들은 어느정도 부를 수 있는 음역이고,
G3~E5 는 남자가 부르기엔 솔직히 말도 안되는 음역이라는게 걸리네요. 일단 남자가 C5정도만 해도 가창력으로는 장난 아닌 수준인데.. (예시로, 김경호의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최고음이 C#5 였나 그랬던걸로 기억하는데.. 이부분은 자세하지가 않네요) E5정도를 남자가 부르면 최소한 지금 가수를 해야.....
+추가: 쉬즈곤이 G5 네요. 어느정도 내지를수 있는 남성분들은 E5로 부르시면 괜찮을 것 같네요..
자 그럼 이제 다시 E4로 돌아왔습니다. E5는 불가능고, E3는 너무 낮으니깐 말이죠.
여기서 문제는, 역시 E4.입니다.
E4가 어느정도 냐고요? 툭터놓고 말하면, E4는 애국가에서 "삼천리 화려강산"부분의 "천" 이 E4입니다. (남자기준)
저정도 높이면 왠만한 남자분들은 연습을 조금만 하셔도 부를 수 있는 높이가 되고, 막상 불러보면 맛이 안산다는게 문제죠.
그래서 한음 반 올려서 G5에서 이테에에에에에에에에를 지르시거나 아니면 가성으로 C6정도에서 이테에에에에에에 를 하시는 방법밖에 남자들에게는 없을것 같다는게 제 생각이고, 이렇기에 이 노래가 남자들에게는 부르기가 애매한 곡이라는것이 제 주장입니다.
뭐 다른건 다 각설하고, 여성 노래를 남자가 부른다는거 자체가 애매하죠.
그럼 번외로, 다른 비슷한 음역대를 가진 곡이 있나 해서 보니..
타카가키 카에데의 코이카제가 Eb6더군요. 딱 반음 낮네요.
용어설명: C,E 이건 CDEFGAB 여기서 나온겁니다. C는 도, D는 레. E는 미. 이렇게 보시면 쉬울것 같습니다.
C4에서 4는 피아노 상에서의 위치입니다.
해당 사진은 88건반 피아노의 건반 모양입니다.
왼쪽부터 C1~B1, (한 옥타브) 이렇게 올라가서 마지막에 C7~B7 옥타브까지. 왼쪽부터 한옥타브씩 올라가면 숫자도 하나가 올라갑니다.
총 38,185건의 게시물이 등록 됨.
14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다만 확실히 말할 수 있는건 두성으로 E4를 지를 수 있다는쪽이 더 불가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유명한 쉬즈곤만 해도 G5까지는 올라가니 차라리 E5가 현실적일 것 같습니다
근데 두성으로 E4를 지를수 있다는게 불가능이라는말은... E4가 두성으로 부르기에는 낮다는 말씀이신가요?
네; 그냥 진성으로 나는 음역을 두성으로 내는것도 힘들고 그걸 감정싣어서 세게 부르는건 더더욱……
그나저나 ㅇㅁㅇ.... 옥타브 개념이 기억이 안나서 무슨말인지 이해를 할수가....없다!
단적인 예로 유리시가 부른 곁에나 히라타 히토미가 부른 곁에가 그걸 보여주죠...
그리고 히라타 히로미! 먼가 하라다 히토미씨랑 이름이 섞엿네요 ㅎㅎ
전부 옥타브를 하나씩 내려야 하네요; ('달의 여왕의 아리아' 최고음이 C6입니다.)
물론 쉬즈곤 최고음은 G5가 맞습니다. : 즉, 쉬즈곤 최고음이 곁에 최고음보다 높은 거죠. G5, E5니까요.
하지만 곁에...의 경우엔 여자 기준으로 미들 C가 C4로 시작해도, E5가 맞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되면 아예 악곡 전체를 채보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남자가 부르기 어려운 이유는, 남자는 미들C라고 인식해서 부르는 음이 C3이거든요...;
그리고 그래서 제가 남자 기준으로 C3 ~ E5, C2~E4로 썻어요... 그부분 설명이 좀 덜됬긴 했네요 본문에.